생활정보

[신림선 개통 신림선 노선 역명 및 개통일정 배차간격 2022년 5월]

신해나 2021. 12. 7.
728x90
반응형

 

신림선 개통 / 신림선 노선 / 신림선 역명 

신림선 개통일정 / 신림선배차간격

 

 

 

 

신림선은 9호선 샛강역에서 시작해 1호선 대방역,

7호선 보라매역, 2호선 신림역을 경유해

서울대 앞까지 총 연장 7.8㎞를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총 11개 정거장으로 연결된 신림선은 

지하철 1,2,7,9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어 

서남권 교통편의를 크게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 됩니다. 

 

 

 

 

 

 

 

 

 

 

사업 개요 

 

총 연장: 7.76 km

역수: 11개

운행방식: 무인 자동 운전

총사업비: 7,422억원(기본계획)

착공시기: 2017년 2월 3일

개통시기: 2022년 5월 28일 (예정)

시행방식: 민간 투자 사업 (BTO)

운행차량: 남서울경전철 SL000호대 전동차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A%B2%BD%EC%A0%84%EC%B2%A0_%EC%8B%A0%EB%A6%BC%EC%84%A0

 

서울 경전철 신림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사 안내표지판 (완공일이 2021년 10월로 표기된 버전)

ko.wikipedia.org

 

전동차 디자인 선호도 조사 후 심의를 거쳐 나온 전동차 디자인 입니다 

 

 

 

 

 

 노선

샛강역(9호선) - 대방역(1호선) - 서울지방병무청역 - 보라매역(7호선) 

- 보라매공원역 - 보라매병원역 - 당곡역 - 신림역(2호선) 

- 서원역 - 서울대벤처타운역 - 관악산(서울대)역


배차시간

출·퇴근시 3.5분,

평상시 4~10분

 

속도

최고 운영속도 60㎞/h

 

수용인원

1일 최대 13만명 수송이 가능

 

 

 

 

 

 

열차 내부 사진 입니다.

유려한 곡선 스틸 봉이 인상적이네요. 

 

 시스템

KRTCS

국내 최초로 차세대 무인운전 시스템인 국산 신호시스템(KRTCS·Korea Train Control System)이 도입                      기관사 없이도 열차 운행의 진로, 차량 출입문, 스크린도어 등이 종합관제실에서 조정,제어가 가능

 

LTE 기반의 열차무선통신망(LTE-R)이 구축

종합 관제실, 유지 보수 요원 등 열차 운행 종사자 간에 무선으로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통신이 동시에 가능

 

 

5단계 필터링을 적용한 공기정화장치가 설치

초미세먼지를 PM-2.5(50㎍/㎥)까지 포집

728x90
반응형

댓글